지자체별 태양광 관련 민원 현황 분석 – 가장 민원이 많은 지역은? 태양광 발전은 친환경 에너지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 잡았지만, 실제 설치와 운영 과정에서는 각종 민원 이 끊이지 않는다. 특히 태양광이 도심 인근, 농촌 마을, 산지에 들어서면서 주민 생활권 침해 , 환경 훼손 우려 , 재산권 문제 , 법적 분쟁 이 본격화되고 있다. 민원은 설치 전부터 시작되며, 설치 후 유지보수 문제까지 포함해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인다. 2025년 현재, 전국 각 지자체는 태양광 관련 민원을 수집하고 대응 중이지만, 지역에 따라 민원 유형과 발생 빈도에는 큰 차이가 있다. 이 글에서는 주요 시·도 및 기초 지자체에서 실제로 접수된 태양광 관련 민원 데이터를 바탕으로, 가장 민원이 많은 지역 , 민원 유형 분류 , 해결 사례 및 실패 사례 , 정책적 시사점 을 정리한다. 전국 태양광 민원 접수 현황 (2023~2024 기준) 국민권익위원회 , 행정안전부 민원통계시스템 , 지자체 정보공개청구 자료 등을 종합하면, 2023년 기준 태양광 관련 민원은 연간 6,500건 이상 발생했다. 특히 산지 태양광 , 농촌 인접 태양광 , 공공시설 부지 태양광 에서 민원이 집중되었으며, 일부 지자체는 관련 민원만으로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. 순위 지역 연간 민원 건수 (2023년 기준) 주요 민원 유형 1 강원도 홍천군 약 300건 산사태 위험, 경관 훼손, 조망권 침해 2 충북 제천시 약 250건 무허가 개발, 소음, 전자파 불안감 3 경북 봉화군 약 240건 산림 훼손, 멸종위기종 서식지 침해 4 전북 순창군 약 210건 주민 동의 없는 설치, 마을 분쟁 5 경기 가평군 약 200건 설치 반대 청원, 관광자원 가치 하락 우려 민원 유형별 분류 1. 조망권·경관 침해형 민원 가장 흔한 민원 중 하나는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면서 자연 경관이 훼손되었다는 불만 이다. 특히 관광지, 전원주택 밀집 지역...